난 저 비디오가 모두 허황된 것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아마도 진실에 가까울 것이라고 생각한다.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주민등록증보다 막강하다.
RFID가 인간에게 본격 시행되었을 때, 정부와 정부로부터 승인받은 사설기업이라면  당신의 현재 위치뿐 아니라 당신의 개인 정보를 당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열람할 수 있게 된다.
즉, 당신은 언제나 감시당하고 있을 뿐 아니라, RFID 없이 모든 거래를 할 수 없을 수도 있다는 의미이다.
이것은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니다.

노트북·PDA에 전자칠판까지…최첨단 시골 초등학교 화제
경기 화성 마산초등학교 최첨단 교육시설 자랑
[ 2008-04-12 14:00:00 ]
노컷뉴스 제휴사/경인일보 강주형 기자



하지만 더욱 놀라운 것은 이제부터다. 일단, 오는 5월 학교 전체에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이 설치된다. RFID 시스템이란 IC칩과 무선을 통해 식품, 동물, 사물 등 다양한 개체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차세대 인식 기술이다.

이 시스템이 도입되면 학생들이 교문을 통과하면서부터 자연스럽게 출석 체크가 되는 것은 물론, 각종 현장 자연 학습을 단말기를 통해 즉석에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군이 학교 소나무 옆에 설치된 바코드에 소형 학습단말기를 갖다 대면 ▲소나무의 역사 ▲자생 분포도 ▲소나무의 특징 등 '소나무'에 대한 각종 정보가 줄줄이 화면에 나타난다.


사실 위의 신문기사에서 기자는 RFID와 바코드 시스템을 구별을 못하고 있다.
RFID는 바코드에 스캐너를 갖다 댈 필요도 없다. 무선이기 때문이다. 기사에서처럼 그냥 교문을 지나가면, 컴퓨터는 아무개가 이곳을 현재 시각에 지나갔다고 기록을 하고 저장을 하게 된다. 또한 바코드보다 RFID는 6000배에 달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RFID의 인간에게 적용은 곧 시행될 전자여권부터 될 것이다.
RFID가 생소하다면 지금 네이버의 뉴스검색에서 RFID와 베리칩을 검색해 보길 바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많은 사무직 사람들이 이미지를 보고서에 올리지만, 회사에서 그래픽 편집이 주가 되는 업무에 종사하는 직원이 아닌 이상 Photoshop을 사줄리는 만무하다. 그렇다고, 사진 실력이 좋아서 편집을 할 필요가 없는 직원은 눈 씻고 찾아봐도 없다. 그러니, 편집을 해야하는데, 공짜프로그램의 기능이 그림판 수준을 벗어나질 못해서 삽질을 한 두시간씩 하기 일쑤이다. 이럴 때, Photoscape를 추천한다.
이 소프트웨어는 아주 직관적인데다가, Photoshop처럼 어려운 것은 하나도 없다. 그냥 버튼 몇 번 누르면 뽀샤시가 저절로 되거나, 멋진 액자틀이 완성되기도 한다. 거기에다 페이지라는 기능을 사용하면 잡지에서나 쓰는 것 같은 사진 배치가 저절로 완성된다.
아마도, Photoshop의 Layer 기능이나 Channel 기능 빼고는 흔히 우리가 이미지를 편집하고 싶어하는 것은 버튼 한 번으로 끝낸다. 아래의 기능을 보면 알 것이다. 아마, 포토샵이 있더라도 Photoscape를 쓰게 될 것이다. 일반적인 사보나 유인물을 제작하는 직원이 써도 손색이 없을 정도이다.


다운로드 : http://photoscape.co.kr/ps/main/download.php
회사에서는 아이디어 창출에 브레인스토밍을 강조한다.
그러나, 지시 일변도인 대부분의 회사의 회의는 그야말로, 높은 사람의 생각에 맞추기 위해 아부하는 사람과 그냥 시키면 시키는 대로 하겠다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정말 다양한 얘기를 듣고 그것을 종합해서 결론을 내리는 상사가 몇 이나 될까?
우리나라에서는 많은 상사들이 밑에 사람 의견을 존중하는 것을 권위가 깍인다고 생각하거나, 자존심 상해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이러한 점에서 회사 정책적으로는 브레인스토밍과 같은 아이디어 창출 기법을 권장하지만, 그 다지 쓸 일이 없는 것도 사실이다. 상사의 비위를 맞추거나, 허드렛일을 하느라 브레인스토밍을 할 시간적 여유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어떤 보고서를 내거나 할 때 자신의 생각을 차분히 정리해 보고 싶다면, 브레인스토밍을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써 보는 것도 도움이 된다. 회사에서 돈 주고 소프트웨어를 사 줄리가 만무하기 때문에 회사에서도 쓸 수 있는 프리웨어를 써야 하는 데, Freemind를 추천한다. insert키나 enter키 등 단순한 단축키 만으로 쉽게 하위항목, 등위항목을 작성할 수 있게 때문에 사용이 간단하고, 색깔, 아이콘 등이 지원 등이 한 눈에 알아보기 쉽다.
단점이라면,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의사를 결정할 수 있는 툴은 제공되지 않는다.
그러나, 어차피 체계화된 의사결정 방법은 많은 회사에서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그다지 큰 흠은 아닌 것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http://freemind.sourceforge.net/wiki/index.php/Download
The formula above assumes that cell A1 contains a valid date for which you want to return the week number.
To calculate the correct week number with a user-defined VBA function, you can use the function below:
Function WEEKNR(InputDate As Long) As Integer
Dim A As Integer, B As Integer, C As Long, D As Integer
    WEEKNR = 0
    If InputDate < 1 Then Exit Function
    A = Weekday(InputDate, vbSunday)
    B = Year(InputDate + ((8 - A) Mod 7) - 3)
    C = DateSerial(B, 1, 1)
    D = (Weekday(C, vbSunday) + 1) Mod 7
    WEEKNR = Int((InputDate - C - 3 + D) / 7) + 1
End Function

Sub test()
    Dim E As Integer
    Dim i As Integer
    E = [a65536].End(xlUp).Row
    For i = 2 To E
        Cells(i, 3) = WEEKNR(Cells(i, 1))
    Next
End Sub



출처 : http://www.exceltip.com
 흔히 노동조합에서 동일노동 동일임금의 의미를 동일한 사업장내의 노동자는 근속 및 각종 자격 수당 등을 제외하고는 같은 임금을 받아햐 한다고 오도하면서, 그것이 평등한 것이라고 말하는 경향이 있다.
   
   동일노동은 그야말로 일의 책임, 일을 수행하기 위한 지식 및 기술,일의 숙련도 등이 동일한 것을 의미하며, 동일임금은 똑 같은 임금을 지급하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법에서는 이를 남녀고용평등법,기간제및단시간근로자보호등에 관한법률,파견근로자보호등에관한법률 등에서 이를 구현하고 있다.

   기간제법 및 파견근로자법에서는 차별을 "임금 그 밖의 근로조건 등에 있어서 합리적인 이유 없이 불리하게 처우하는 것을 말한다"라고 정의하여 동일가치 동일임금의 기준이 임금 뿐만 아니라, 각종 복리 후생 등에서도 적용되어져야 함을 밝히고 있다.

   남녀고용평등법에서는 동일가치 노동의 기준을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 이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그 기준을 정함에 있어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라고 명시하였다.

  동일가치 동일임금은 단순히 똑 같은 일을 한다고 해서 똑 같은 임금을 받아야 한다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우리 나라 대부분의 생산직 임금 구조가 호봉제나 근속년수에 따른 임금제에 기인한 결과일 뿐이다.

  일부 노동조합에서는 이를 현장에 쉽게 오도하기 위해 동일노동 동일임금이라고 바꾸어 표현하고 있다. 사실 동일노동은 동일가치노동의 줄임말이다.
 
  이런 점에서 동일노동 동일임금은 평등의 의미가 아니라 정당한 차별에 관한 기준이다.

  동일노동 동일임금은 그렇기 때문에 철저한 직무분석을 통해서만 구현이 가능하다.

 

+ Recent posts